80일

오늘도 역시나 빈칸문제를 풀거야.
하지만 어제까지 하던 것과 다른 풀이법을 들고왔어!

빈칸 문장과 주제문을 비교한다.

말 그대로 빈칸문장과 주제문을 비교하면서 빈칸을 맞추는 방법이야.
저번에 빈칸=주제 라고 설명해줬었어. 당연히 주제문을 찾으면 빈칸이 저절로 풀어질 거야. 어차피 같은 뜻을 품은 주제니까 말이야!

그렇다면 주제문은 어떻게 찾지?
예전에 16개의 pattern을 이용해서 주제문을 찾던거 기억나?
그 패턴들을 이용해서 주제문을 찾고, 빈칸문장과 비교해서 빈칸내용을 맞추면 돼!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Some distinctions between good and bad are hardwired into our biology. Infants enter the world ready to respond to pain as bad and to sweet (up to a point) as good. In many situations,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bad is a reference point that changes over time and depends on the immediate circumstances. Imagine that you are out in the country on a cold night, inadequately dressed for the pouring rain, your clothes soaked. A stinging cold wind completes your misery. As you wander around, you find a large rock that provides some shelter from the fury of the elements. The biologist Michel Cabanac would call the experience of that moment intensely pleasurable because it functions, as pleasure normally does,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____________________. The pleasant relief will not last very long, of course, and you will soon be shivering behind the rock again, driven by your renewed suffering to seek better shelter.
* shiver: 떨다

① a permanent emotional adjustment to circumstantial demands
② enhancing self-consciousness through physical suffering
③ a biolog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circumstances
④ judging desirable and undesirable conditions impartially
⑤ a mentally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 emotional stability


정답은 3번이야!!
먼저 해석을 해보자!!!

Some distinctions between good / and bad / are / hardwired / into our biology.
->좋음과 나쁨 사이의 몇 가지 구별은 우리의 생명 활동 안에 타고난다.

Infants / enter / the world ready / to respond / to pain / as bad / and / to sweet (up to a point) as good.
->유아는 고통은 나쁘다고 반응하고 (어느 정도까지는) 달콤함은 좋다고 반응할 준비가 된 채로 세상에 나온다.

In many situations,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good / and bad / is / a reference point / that changes over time / and depends / on the immediate circumstances.
->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좋음과 나쁨의 경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기준점이며 당면한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Imagine / that / you / are / out / in the country / on a cold night, inadequately dressed / for the pouring rain, your clothes soaked.
->추운 밤에 폭우에 부적절한 옷을 입고 옷이 흠뻑 젖은 채로 시골에서 바깥에 있다고 상상해 보라.

A stinging cold / wind / completes your misery.
->찌르는 듯한 차가운 바람으로 고통이 극에 달한다.

As you / wander / around, you find a large rock / that provides some shelter / from the fury / of the elements.
->주변을 서성이다가 격렬한 악천후로부터 어떤 피난처를 제공하는 커다란 바위를 발견한다.

The biologist Michel Cabanac / would / call / the experience / of that moment intensely pleasurable / because it functions, as pleasure normally does, to indicate the direction / of a biolog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 of circumstances.
->생물학자인 Michel Cabanac은 그 순간의 경험을 대단히 즐겁다고 보곤 했는데, 즐거움이 보통 그렇듯이 그것이 생물학적으로 상황에 대한 상당한 개선의 방향을 보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The pleasant relief / will / not last very long, of course, and you / will / soon be shivering behind the rock again, driven / by your renewed suffering / to seek better shelter.
->물론 그 즐거운 안도는 아주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고, 여러분은 곧 바위 뒤에서 다시 몸을 떨고 있게 될 것이며, 새로워진 고통에 의해 결국 더 좋은 피난처를 찾게 될 것이다.

[해석]
좋음과 나쁨 사이의 몇 가지 구별은 우리의 생명 활동 안에 타고난다. 유아는 고통은 나쁘다고 반응하고 (어느 정도까지는) 달콤함은 좋다고 반응할 준비가 된 채로 세상에 나온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좋음과 나쁨의 경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기준점이며 당면한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추운 밤에 폭우에 부적절한 옷을 입고 옷이 흠뻑 젖은 채로 시골에서 바깥에 있다고 상상해 보라. 찌르는 듯한 차가운 바람으로 고통이 극에 달한다. 주변을 서성이다가 격렬한 악천후로부터 어떤 피난처를 제공하는 커다란 바위를 발견한다. 생물학자인 Michel Cabanac은 그 순간의 경험을 대단히 즐겁다고 보곤 했는데, 즐거움이 보통 그렇듯이 그것이 생물학적으로 상황에 대한 상당한 개선의 방향을 보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즐거운 안도는 아주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고, 여러분은 곧 바위 뒤에서 다시 몸을 떨고 있게 될 것이며, 새로워진 고통에 의해 결국 더 좋은 피난처를 찾게 될 것이다.

[어휘]
distinction 구별 hardwired 타고난, 굳어진, 고정된 biology 생명 활동[작용], 생물학 boundary 경계, 분계선 reference point (계측·평가의) 기준점 immediate 당면한, 즉각적인 inadequately 부적절하게 soak 흠뻑 적시다 stinging 찌르는 듯한 elements 악천후 misery 고통, 빈곤 shelter 피난처, 안식처 fury (전쟁·폭풍우 등의) 격렬, 맹위 intensely 대단히, 강렬하게 indicate 보여주다, 가리키다 direction 방향, 지도 relief 안도, 안심 renewed 새로워진 suffering 고통 adjustment 적응, 조정 enhance 강화하다 impartially 공정하게

The biologist Michel Cabanac would call the experience of that moment intensely pleasurable because it functions, as pleasure normally does,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____________________.
생물학자인 Michel Cabanac은 그 순간의 경험을 대단히 즐겁다고 보곤 했는데, 즐거움이 보통 그렇듯이 그것이 (_____)의 방향을 보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먼저 빈칸을 체크하는 거 잊지 않았지?
생물학자 M.C는 순간의 경험=즐거움=즐거움은 (___)의 방향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라고 말하고 있어.

In many situations,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bad is a reference point that changes over time and depends on the immediate circumstances. Imagine that (예시 표시어) —
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좋음과 나쁨의 경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기준점이며 당면한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 상상해 보라.

그리고 주제문을 찾아왔어.
왜 주제문인지 기억이 안나진 않겠지?^_^;;
[Pattern 03]예시 나열 동일 구조 반복 앞에 주제가 나온다.
패턴 3이 적용된 주제문이였어. Imagine that~ 이라면서 예시를 시작하고 있지? 그렇다면 그 앞의 문장이 주제문일거야.

~좋음과 나쁨의 경계는 ~당면한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그렇다면 좋음과 나쁨을 결정하는 기준은 ‘당면한 상황’인 것이야. 상황이 좋으면 좋음이고, 상황이 나쁘면 나쁨이라는 소리지.
앞에 빈칸에서 나왔던 즐거움은 좋음에 해당해. 그렇다면 좋음은 어떤 방향을 보여줄까?
당연히 ‘좋은 상황’을 가리킬 거야. 그 좋은 상황에 해당하는 선지를 고르면

① a permanent emotional adjustment to circumstantial demands 상황적 요구에 대한 영구적 정서 적응
② enhancing self-consciousness through physical suffering 신체적 고통을 통한 자의식 강화
∨③ a biolog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circumstances 생물학적으로 상황에 대한 상당한 개선
④ judging desirable and undesirable conditions impartially 바람직한 상황과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의 공정한 판단
⑤ a mentally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 emotional stability 정서 안정을 위해 정신적으로 예정된 성향

바로 2번이 되는 것이지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ed improvement has long been a public domain and government activity for the common good. However, private capital started to flow into seed production and took it over as a sector of the economy,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This process gained pace after the invention of hybrid breeding of maize in the late 1920s. Today most maize seed cultivated are hybrids. The companies that sell them are able to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and the grain that they produce is not suited for seed saving and replanting. The combination guarantees that farmers will have to ____________________. In the 1990s the extension of patent laws as the on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ol into the area of seed varieties started to create a growing market for private seed companies.
* maize: 옥수수

① buy more seed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② use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before
③ pioneer markets for their food products
④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 production
⑤ search for ways to maintain rural communities


정답은 1번이야!!
먼저 해석을 해보자!!!

Research / and development / for seed improvement / has / long been a public domain / and government activity / for the common good.
->종자 개량을 위한 연구 개발은 오랫동안 공익을 위한 공공 영역이자 정부의 활동이었다.

However, private capital started / to flow / into seed production / and took it over / as a sector / of the economy,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 between the two aspects /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 as means / of production / and its role as product.
->그러나 개인 자본이 종자 생산으로 흘러들어오기 시작했고 경제의 한 부문으로서 그것(종자 생산)을 인수하여, 종자의 특성의 두 가지 측면, 즉 생산의 수단으로서의 종자의 역할과 생산물로서의 종자의 역할, 사이를 인위적으로 나누게 되었다.

This process / gained / pace after the invention / of hybrid breeding / of maize / in the late 1920s.
->이 과정은 1920년대 말에 옥수수의 잡종 번식 발명 이후 속도를 얻었다.

Today most maize seed / cultivated / are / hybrids.
->오늘날 재배되는 대부분의 옥수수는 잡종이다.

The companies / that sell them / are / able to /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 from farmers, and the grain / that they produce / is / not suited / for seed saving and replanting.
->그것들을 파는 회사들은 농부들로부터 뚜렷한 부모 계통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들이 생산하는 곡물은 종자용으로 보관했다가 다시 심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The combination guarantees / that farmers / will / have / to buy more seed /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그 결합은 농부들이 계절마다 그 회사로부터 더 많은 종자를 사야하도록 보장해준다.

In the 1990s the extension / of patent laws / as the on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ol / into the area / of seed varieties started / to create a growing market / for private seed companies.
->1990년대에 유일한 지적 재산권 도구인 특허법이 종자 변종의 영역까지 확장되면서 개인 종자 회사를 위한 시장은 더 커지기 시작했다.

[해석]
종자 개량을 위한 연구 개발은 오랫동안 공익을 위한 공공 영역이자 정부의 활동이었다. 그러나 개인 자본이 종자 생산으로 흘러들어오기 시작했고 경제의 한 부문으로서 그것(종자 생산)을 인수하여, 종자의 특성의 두 가지 측면, 즉 생산의 수단으로서의 종자의 역할과 생산물로서의 종자의 역할, 사이를 인위적으로 나누게 되었다. 이 과정은 1920년대 말에 옥수수의 잡종 번식 발명 이후 속도를 얻었다. 오늘날 재배되는 대부분의 옥수수는 잡종이다. 그것들을 파는 회사들은 농부들로부터 뚜렷한 부모 계통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들이 생산하는 곡물은 종자용으로 보관했다가 다시 심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그 결합은 농부들이 계절마다 그 회사로부터 더 많은 종자를 사야하도록 보장해준다. 1990년대에 유일한 지적 재산권 도구인 특허법이 종자 변종의 영역까지 확장되면서 개인 종자 회사를 위한 시장은 더 커지기 시작했다.

[어휘]
seed 종자, 씨앗 domain 영역 common good 공익 capital 자본 take over ~을 인수하다 sector 부문, 영역 split 나눔, 분열, 분할 hybrid 잡종 breeding 번식 cultivate 재배하다, 경작하다 distinct 뚜렷한 grain 곡물, 알갱이 suited 적절한 combination 결합, 배합, 조합 guarantee 보장하다 extension 확장, 연장 patent 특허 variety 변종 pioneer 개척하다 rural 시골의

The combination guarantees that farmers will have to ____________________.
그 결합은 농부들이 (___)도록 보장해준다.

역시나 빈칸을 먼저보자.
그 결합은 농부들이 (__)도록 보장해준다고 하는 군.

However, private capital started to flow into seed production and took it over as a sector of the economy,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그러나 개인 자본이 종자 생산으로 흘러들어오기 시작했고 경제의 한 부문으로서 그것(종자 생산)을 인수하여, 종자의 특성의 두 가지 측면, 즉 생산의 수단으로서의 종자의 역할과 생산물로서의 종자의 역할, 사이를 인위적으로 나누게 되었다.

그리고 또 주제문을 들고 왔어. 어떤 패턴이 적용되었는 지 알겠니?
[Pattern 02]역접 연결어 뒤에 주제가 나온다.
역접 연결어인 However뒤에 부분을 해석하면 주제가 나올거야.
개인자본이 종자생산을 인수하기 시작하면서 생산 수단으로서의 종자의 역할과, 생산물로서의 종자의 역할, 이 두 가지로 나뉘게 되었데.

그렇다면 농부는 과연 어떻게 되는걸까? 종자생산이 나뉘게 되면 당연히 나뉜만큼 사들여야 되겠지? 그렇다면 개인 회사로부터 더 많은 종자를 사들이게 될거야.

∨① buy more seed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계절마다 그 회사로부터 더 많은 종자를 사야 하도록
② use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before 이전보다 더 많은 화학 비료를 사용하도록
③ pioneer markets for their food products 자신들의 식품 생산품을 위한 시장을 개척하도록
④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 production 식품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⑤ search for ways to maintain rural communities 시골 공동체 유지를 위한 방법을 찾아보도록

그래서 답은 1번!


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concept of humans doing multiple things at a time has been studied by psychologists since the 1920s, but the term “multitasking” didn’t exist until the 1960s. It was used to describe computers, not people. Back then, ten megahertz was so fast that a new word was needed to describe a computer’s ability to quickly perform many tasks. In retrospect, they probably made a poor choice, for the expression “multitasking” is inherently deceptive. Multitasking is about multiple tasks alternately sharing one resource (the CPU), but in time the context was flipped and it became interpreted to mean multiple tasks being done simultaneously by one resource (a person). It was a clever turn of phrase that’s misleading, for even computers can process only one piece of code at a time. When they “multitask,” they switch back and forth, alternating their attention until both tasks are done. The speed with which computers tackle multiple tasks ________________ that everything happens at the same time, so comparing computers to humans can be confusing.

① expels the myth ② feeds the illusion ③ conceals the fact
④ proves the hypothesis ⑤ blurs the conviction


정답은 2번이야!!
먼저 해석을 해보자!!!

The concept / of humans doing multiple things / at a time / has / been studied / by psychologists / since the 1920s, but the term “multitasking” didn’t exist / until the 1960s.
->인간이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한다는 개념은 1920년대 이래로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지만, ‘멀티태스킹’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존재하였다.

It / was / used / to describe computers, not people.
->그것은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Back then, ten megahertz / was / so fast / that a new word / was / needed / to describe a computer’s ability / to quickly perform many tasks.
->그때는 10메가헤르츠가 너무 빨라서 여러 가지 일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의 능력을 기술하기 위하여 새로운 단어가 필요했다.

In retrospect, they probably / made / a poor choice, for the expression “multitasking” is / inherently deceptive.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들은 아마 좋지 못한 선택을 했을 것인데, 왜냐하면 ‘멀티태스킹’이라는 표현은 본질적으로 기만적이기 때문이다.

Multitasking / is / about multiple tasks alternately sharing one resource (the CPU), but / in time the context / was / flipped / and it / became interpreted / to mean multiple tasks being / done / simultaneously / by one resource (a person).
->멀티태스킹은 다수의 일이 하나의 자원(CPU)을 번갈아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윽고 맥락이 뒤바뀌었고 그것은 다수의 일이 하나의 자원(사람)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It / was / a clever turn / of phrase that’s misleading, / for even computers / can / process only one piece / of code at a time.
->그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교묘한 어구의 전환이었는데, 왜냐하면 컴퓨터조차 한 번에 단 한 개의 부호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y “multitask,” they / switch / back / and forth, alternating their attention / until both tasks / are / done.
->그것들이 ‘멀티태스킹’을 할 때, 그것들은 두 개의 일이 모두 끝날 때까지 주의 집중을 번갈아 하면서 왔다 갔다 하며 바뀐다.

The speed / with which computers tackle multiple tasks feeds the illusion / that everything happens / at the same time, so comparing computers / to humans can be confusing.
->컴퓨터가 다수의 일을 처리하는 속도는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착각을 하게 해서 컴퓨터를 인간과 비교하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해석]
인간이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한다는 개념은 1920년대 이래로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지만, ‘멀티태스킹’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존재하였다. 그것은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때는 10메가헤르츠가 너무 빨라서 여러 가지 일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의 능력을 기술하기 위하여 새로운 단어가 필요했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들은 아마 좋지 못한 선택을 했을 것인데, 왜냐하면 ‘멀티태스킹’이라는 표현은 본질적으로 기만적이기 때문이다. 멀티태스킹은 다수의 일이 하나의 자원(CPU)을 번갈아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윽고 맥락이 뒤바뀌었고 그것은 다수의 일이 하나의 자원(사람)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교묘한 어구의 전환이었는데, 왜냐하면 컴퓨터조차 한 번에 단 한 개의 부호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들이 ‘멀티태스킹’을 할 때, 그것들은 두 개의 일이 모두 끝날 때까지 주의 집중을 번갈아 하면서 왔다 갔다 하며 바뀐다. 컴퓨터가 다수의 일을 처리하는 속도는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착각을 하게 해서 컴퓨터를 인간과 비교하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어휘]
multitasking 멀티태스킹(다중 작업) / in retrospect 돌이켜 생각해 보면 / inherently 본질적으로 / deceptive 기만적인 / alternately 번갈아, 교대로 / context 맥락, 문맥 / flip 홱 뒤집다 / interpret 이해하다, 해석하다 / simultaneously 동시에 / misleading 오해의 소지가 있는, 오도하는 / tackle 처리하다, 다루다 / confusing 혼란스러운 / expel 추방하다 / feed 주다, 먹이다 / illusion 착각, 오해 / conceal 감추다, 숨기다 / hypothesis 가설 / blur 흐리게 하다 / conviction 확신, 신념

The speed with which computers tackle multiple tasks ________________ that everything happens at the same time, so comparing computers to humans can be confusing.
컴퓨터가 다수의 일을 처리하는 속도는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____)해서 컴퓨터를 인간과 비교하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빈칸먼저 살펴보자.
컴퓨터가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속도가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___)하게 해서 컴퓨터와 인간을 비교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데.

In retrospect, they probably made a poor choice, for the expression “multitasking” is inherently deceptive.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들은 아마 좋지 못한 선택을 했을 것인데, 왜냐하면 ‘멀티태스킹’이라는 표현은 본질적으로 기만적이기 때문이다.

[Pattern 01]구나 절이 be 동사 앞에 나오면 be 동사 뒤 부분이 주제가 된다.
패턴1이 적용된 주제문을 들고 왔어. be동사인 is뒤에 부분을 해석하면 멀티태스킹이라는 표현은 본질적으로 기만적이라고 하고 있어.
기만한다는 것은 속이는 것이고 거짓을 진실이라 믿게 하는 것이잖아. 여기서는 멀티태스킹이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게 두 가지나 그 이상의 일을 처리해 마치 동시에 하는것과 같은 착각을 하게 한다는 것이잖아. 그러니 선지에서 그것을 고르면

① expels the myth 신화를 추방하기 위해
∨② feeds the illusion 착각을 하게 해서
③ conceals the fact 사실을 숨기기 위해
④ proves the hypothesis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⑤ blurs the conviction 확신을 희미하게 만들기 위해

정답은 2번이 되는 거야!!!


해석 연습

1. Some distinctions between good and bad are hardwired into our biology.

2. Infants enter the world ready to respond to pain as bad and to sweet (up to a point) as good.

3. In many situations,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bad is a reference point that changes over time and depends on the immediate circumstances.

4. Imagine that you are out in the country on a cold night, inadequately dressed for the pouring rain, your clothes soaked.

5. A stinging cold wind completes your misery.

6. As you wander around, you find a large rock that provides some shelter from the fury of the elements.

7. The biologist Michel Cabanac would call the experience of that moment intensely pleasurable because it functions, as pleasure normally does,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a biolog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circumstances.

8. The pleasant relief will not last very long, of course, and you will soon be shivering behind the rock again, driven by your renewed suffering to seek better shelter.

9.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ed improvement has long been a public domain and government activity for the common good.

10. However, private capital started to flow into seed production and took it over as a sector of the economy,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11. This process gained pace after the invention of hybrid breeding of maize in the late 1920s. Today most maize seed cultivated are hybrids.

12. The companies that sell them are able to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and the grain that they produce is not suited for seed saving and replanting.

13. The combination guarantees that farmers will have to buy more seed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14. In the 1990s the extension of patent laws as the on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ol into the area of seed varieties started to create a growing market for private seed companies.

15. The concept of humans doing multiple things at a time has been studied by psychologists since the 1920s, but the term “multitasking” didn’t exist until the 1960s.

16. It was used to describe computers, not people. Back then, ten megahertz was so fast that a new word was needed to describe a computer’s ability to quickly perform many tasks.

17. In retrospect, they probably made a poor choice, for the expression “multitasking” is inherently deceptive.

18. Multitasking is about multiple tasks alternately sharing one resource (the CPU), but in time the context was flipped and it became interpreted to mean multiple tasks being done simultaneously by one resource (a person).

19. It was a clever turn of phrase that’s misleading, for even computers can process only one piece of code at a time.

20. When they “multitask,” they switch back and forth, alternating their attention until both tasks are done.

21. The speed with which computers tackle multiple tasks feeds the illusion that everything happens at the same time, so comparing computers to humans can be confusing.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