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또 다른 빈칸풀이법을 들고왔어^_^
이분법을 적용 한다.
소재 2개
대조
토끼 ⇨ 빠르다 ⇨ 따라잡기가 어렵다
거북이 ⇨ 느리다 ⇨ ( ? )
이분법을 적용하여 푸는 방법은 소재가 두 개나왔을 때 그 두 개의 소재를 대조하면서 푸는 방식이야.
위 박스를 예시로 한번 알아보자.
물음표가 있는 속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
따라 잡기가 쉽다 이거나
이와 유사한 표현인
쉬운 사냥감이다
어부가 잡기 쉽다 등의 말이 빈칸에 들어갈 말이 되는 거야.
저렇게 토끼vs거북이처럼 두 개의 소재를 비교하면서 마지막에 ‘따라잡기 쉽다’라고 예상하듯이 빈칸을 풀면 돼!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success of human beings depends crucially on numbers and connections. A few hundred people cannot sustain a sophisticated technology. Recall that Australia was colonized 45,000 years ago by pioneers spreading east from Africa along the shore of Asia. The vanguard of such a migration must have been small in number and must have traveled comparatively light. The chances are they had only a sample of the technology available to their relatives back at the Red Sea crossing. This may explain why Australian aboriginal technology, although it developed and elaborated steadily over the ensuing millennia, was lacking in so many features of the Old World ― elastic weapons, for example, such as bows and catapults, were unknown, as were ovens. It was not that they were ‘primitive’ or that they had mentally regressed; it was that they ____________________ and did not have a dense enough population and therefore a large enough collective brain to develop them much further.
* catapult: 투석기
① were too tightly connected to develop new technologies
② focused on developing and elaborating elastic weapons
③ had arrived with only a subset of technologies
④ inherited none of their relatives’ technologies in Africa
⑤ failed to transfer their technical insights to the Old World
정답은 3번이야!!!
해석을 해보자!!!
The success / of human beings / depends crucially / on numbers / and connections.
->인류의 성공은 결정적으로 숫자와 관계에 좌우된다.
A few hundred people / cannot sustain / a sophisticated technology.
->몇 백 명의 사람들이 정교한 기술을 유지할 수 없다.
Recall / that / Australia / was colonized / 45,000 years ago / by pioneers / spreading east / from Africa / along the shore / of Asia.
->호주가 아프리카로부터 아시아의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세력을 넓혔던 개척자들에 의해 45,000년 전에 식민지로 개척되었다는 것을 돌이켜 보자.
The vanguard / of such a migration / must have been / small / in number / and / must have traveled / comparatively light.
->이러한 이주의 선발대는 숫자가 매우 적었음에 틀림이 없고 비교적 짐을 가볍게 해서 다녔음에 틀림없다.
The chances / are / they had / only a sample / of the technology / available / to their relatives back / at the Red Sea crossing.
->그들은 홍해를 건널 당시의 동족들이 이용 가능했던 기술의 견본만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This / may explain / why / Australian aboriginal technology, / although / it developed / and / elaborated steadily / over the ensuing millennia, / was lacking / in so many features / of the Old World ― elastic weapons,
->이는 그들(호주 원주민들)의 기술이 비록 그 뒤로 천 년이 넘게 꾸준히 발전했고 정교해졌지만, 왜 호주 원주민들의 기술에는 구세계의 매우 많은 특징들이 결여되어 있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 such as / bows and catapults, / were unknown, / as / were ovens.
->예를 들어, 활과 투석기 같은 탄성 무기는 알려지지 않았고, 화덕 또한 그랬다.
It was not / that / they were /‘primitive’/ or / that / they / had mentally regressed;
->그것은 그들이 ‘원시적’이어서 또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퇴보해서도 아니다.
it was / that / they / had arrived / with only a subset / of technologies / and / did not have / a dense enough population / and therefore / a large enough collective brain / to develop / them / much further.
->그것은 그들이 단지 기술의 일부분만 가지고 도착했고, 그 기술들을 훨씬 더 발전시키기에 충분히 조밀한 인구와 그로 인해 충분히 거대한 집단적인 뇌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석]
인류의 성공은 결정적으로 숫자와 관계에 좌우된다. 몇 백 명의 사람들이 정교한 기술을 유지할 수 없다. 호주가 아프리카로부터 아시아의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세력을 넓혔던 개척자들에 의해 45,000년 전에 식민지로 개척되었다는 것을 돌이켜 보자. 이러한 이주의 선발대는 숫자가 매우 적었음에 틀림이 없고 비교적 짐을 가볍게 해서 다녔음에 틀림없다. 그들은 홍해를 건널 당시의 동족들이 이용 가능했던 기술의 견본만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는 그들(호주 원주민들)의 기술이 비록 그 뒤로 천 년이 넘게 꾸준히 발전했고 정교해졌지만, 왜 호주 원주민들의 기술에는 구세계의 매우 많은 특징들이 결여되어 있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활과 투석기 같은 탄성 무기는 알려지지 않았고, 화덕 또한 그랬다. 그것은 그들이 ‘원시적’이어서 또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퇴보해서도 아니다. 그것은 그들이 단지 기술의 일부분만 가지고 도착했고, 그 기술들을 훨씬 더 발전시키기에 충분히 조밀한 인구와 그로 인해 충분히 거대한 집단적인 뇌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휘]
crucially 결정적으로 / vanguard 선봉, 선두 / aboriginal 원주민의, 토착의 / elaborate 정교해지다, 정교하게 만들다 / ensuing 뒤이은, 다음의 / Old World 구(舊)세계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 elastic 탄성의, 탄력 있는 / regress 퇴보하다 / dense (인구가) 조밀한
It was not that they were ‘primitive’ or that they had mentally regressed; it was that they ____________________ and did not have a dense enough population and therefore a large enough collective brain to develop them much further.
그것은 그들이 ‘원시적’이어서 또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퇴보해서도 아니다. 그것은 그들이 (____), 그 기술들을 훨씬 더 발전시키기에 충분히 조밀한 인구와 그로 인해 충분히 거대한 집단적인 뇌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시나 빈칸을 먼저 보는 센스! 잊지 않았지?
The vanguard of such a migration must have been small in number and must have traveled comparatively light.
이러한 이주의 선발대는 숫자가 매우 적었음에 틀림이 없고 비교적 짐을 가볍게 해서 다녔음에 틀림없다.
The chances are (that) they had only a sample of the technology available to their relatives back at the Red Sea crossing.
그들은 홍해를 건널 당시의 동족들이 이용 가능했던 기술의 견본만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 문제는 두드러지게 소재가 두 개로 나뉘진 않지만, 현대vs옛날 이라고 보면 좀 편할거야.
현대에 비해 개척자들의 선발대의 수가 매우 적었고, 기술이 제한되어 있었어.
그리고 빈칸에서는 그들은 퇴보한 것이 아닌 (____), 그리고 인구가 적었다고 말하고 있지.
인구가 적었고, 기술이 제한되었으니 빈칸에 들어 갈 말은 기술의 제한이 적당할 거야.
① were too tightly connected to develop new technologies 너무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없었다
② focused on developing and elaborating elastic weapons 탄성 무기를 개발하고 정교화 하는 것에 집중했다
∨③ had arrived with only a subset of technologies 단지 기술의 일부분만 가지고 도착했다 : 기술이 적었다가 되니낀 정답이 되는 거야!!!
④ inherited none of their relatives’ technologies in Africa 아프리카 동족들의 기술을 하나도 물려받지 못했다
⑤ failed to transfer their technical insights to the Old World 그들의 기술적인 안목을 구세계에 전달하지 못했다
그래서 답은 3번~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males leave home and females mature in their natal area. This male-biased dispersal creates an imbalance in the way males and females are related to those individuals around them ― females find themselves surrounded by relatives, while males are generally in areas with complete strangers. This asymmetry translates into females who warn close kin by emitting alarm calls, while males generally do not emit calls since their dispersal from their natal areas means their blood kin typically do not benefit from such a warning. Further support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includes Sherman’s finding that in the rare instances when females do move away from their natal groups and into groups with far fewer relatives, they ___________________.
① end up acquiring the alarm calls of the new group
② make constant attempts to bring their blood kin along
③ display a tendency to become more active and cooperative
④ emit alarm calls less frequently than do native females
⑤ adopt a more elaborate defense mechanism than alarm calls
정답은 4번이야!!!
해석을 해보자!!!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 males / leave / home / and females / mature / in their natal area.
->Belding 얼룩 다람쥐 사이에서, 수컷은 집을 떠나고 암컷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
This male-biased dispersal / creates / an imbalance / in the way / males and females / are related / to those individuals / around them ―
->이렇게 수컷이 주로 떠나 분산이 이뤄지는 것은 수컷과 암컷이 주위에 있는 개체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있어 불균형을 만들어 낸다.
females find / themselves / surrounded / by relatives, / while / males / are generally / in areas / with complete strangers.
->즉, 암컷들은 친족들에 의해 자신이 둘러싸이게 되고, 반면에 수컷들은 일반적으로 완전히 낯선 개체들과 함께 있는 지역에 있게 된다.
This asymmetry / translates / into females / who warn / close kin / by emitting / alarm calls, / while males / generally do not emit / calls / since / their dispersal / from their natal areas / means / their blood kin / typically / do not benefit / from such a warning.
->이러한 불균형은 경고음을 냄으로써 가까운 친족에게 경고하는 암컷들이 되게 하며, 반면 수컷들은 대개 경고음을 내지 않는데 태어난 곳에서 떠나 왔다는 것은 친족들이 그러한 경고로 인해 보통은 혜택을 받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Further support /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 includes / Sherman’s finding / that / in the rare instances / when / females / do move away / from their natal groups / and into groups / with far fewer relatives, / they emit / alarm calls / less frequently / than do / native females.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암컷이 태어난 집단에서 훨씬 더 적은 수의 친족을 지닌 집단으로 멀리 이동한 드문 경우에, 그 암컷이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더 적은 빈도로 경고음을 낸다는 Sherman의 발견을 포함한다.
[해석]
Belding 얼룩 다람쥐 사이에서, 수컷은 집을 떠나고 암컷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 이렇게 수컷이 주로 떠나 분산이 이뤄지는 것은 수컷과 암컷이 주위에 있는 개체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있어 불균형을 만들어 낸다. 즉, 암컷들은 친족들에 의해 자신이 둘러싸이게 되고, 반면에 수컷들은 일반적으로 완전히 낯선 개체들과 함께 있는 지역에 있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은 경고음을 냄으로써 가까운 친족에게 경고하는 암컷들이 되게 하며, 반면 수컷들은 대개 경고음을 내지 않는데 태어난 곳에서 떠나 왔다는 것은 친족들이 그러한 경고로 인해 보통은 혜택을 받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암컷이 태어난 집단에서 훨씬 더 적은 수의 친족을 지닌 집단으로 멀리 이동한 드문 경우에, 그 암컷이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더 적은 빈도로 경고음을 낸다는 Sherman의 발견을 포함한다.
[어휘]
natal 출생의 / dispersal 분산, 확산 / asymmetry 불균형, 비대칭 / emit (소리를) 내다 / kinship 친족 / relative 친족, 친척
Further support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includes Sherman’s finding that in the rare instances when females do move away from their natal groups and into groups with far fewer relatives, they ___________________.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암컷이 태어난 집단에서 훨씬 더 적은 수의 친족을 지닌 집단으로 멀리 이동한 드문 경우에, 그 암컷이 태어난 곳에 있는 (_____)는 Sherman의 발견을 포함한다.
빈칸을 먼저보자.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males leave home and females mature in their natal area.
Belding 얼룩 다람쥐 사이에서, 수컷은 집을 떠나고 암컷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
This asymmetry translates into females who warn close kin by emitting alarm calls, while males generally do not emit calls since their dispersal from their natal areas means their blood kin typically do not benefit from such a warning.
이러한 불균형은 경고음을 냄으로써 가까운 친족에게 경고하는 암컷들이 되게 하며, 반면 수컷들은 대개 경고음을 내지 않는데 태어난 곳에서 떠나 왔다는 것은 친족들이 그러한 경고로 인해 보통은 혜택을 받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암컷vs수컷 으로 확 나뉘어서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어.
수컷: 집을 떠난다 -> 경고음을 내지 않는다
암컷: 집에 머무른다-> 경고음을 낸다 -> 집에 머무는 암컷 (->집을 떠나는 드문 경우)-> ?
?에 들어갈 말은 수컷과 비교하면 바로 알 수 있지?
① end up acquiring the alarm calls of the new group 결국 새로운 집단의 경고음을 습득 한다
② make constant attempts to bring their blood kin along 자신의 친족을 데려오려고 계속 시도 한다
③ display a tendency to become more active and cooperative 더 능동적이고 협조적인 성향을 보여 준다
∨④ emit alarm calls less frequently than do native females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더 적은 빈도로 경고음을 낸다
⑤ adopt a more elaborate defense mechanism than alarm calls 경고음보다 더 정교한 방어체계를 채택 한다
바로 ‘경고음을 내지 않는 다’야. 정답은 4번!
해석 연습
1. The success of human beings depends crucially on numbers and connections.
2. A few hundred people cannot sustain a sophisticated technology.
3. Recall that Australia was colonized 45,000 years ago by pioneers spreading east from Africa along the shore of Asia.
4. The vanguard of such a migration must have been small in number and must have traveled comparatively light.
5. The chances are they had only a sample of the technology available to their relatives back at the Red Sea crossing.
6. This may explain why Australian aboriginal technology, although it developed and elaborated steadily over the ensuing millennia, was lacking in so many features of the Old World ― elastic weapons,
7. for example, such as bows and catapults, were unknown, as were ovens.
8. It was not that they were‘primitive’or that they had mentally regressed;
9. it was that they had arrived with only a subset of technologies and did not have a dense enough population and therefore / a large enough collective brain to develop them much further.
10.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males leave home and females mature in their natal area.
11. This male-biased dispersal creates an imbalance in the way males and females are related to those individuals around them ―
12. females find themselves surrounded by relatives, while males are generally in areas with complete strangers.
13. This asymmetry translates into females who warn close kin by emitting alarm calls, while males generally do not emit calls since their dispersal from their natal areas means their blood kin typically do not benefit from such a warning.
14. Further support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includes Sherman’s finding that in the rare instances when females do move away from their natal groups and into groups with far fewer relatives, they emit alarm calls less frequently than do native females.